facebook naver blog twitter 링크복사 현재 페이지 URL 복사
현재 페이지 공유데이터 기반 융복합 기상산업, 기후위기 시대의 성장 동력으로 부상
등록일자2025/10/31
조회수26
데이터 기반 융복합 기상산업, 기후위기 시대의 성장 동력으로 부상
- 2025년 기상산업 매출 1조 2,911억 원, 전년대비 13.6% 증가 -
□ 한국기상산업기술원(원장 황명균, 이하 ‘기술원’)은 기상산업진흥법 제12조에 따라‘기상산업 실태조사’에 대한 2024년 기준 통계 결과를 공표하였다.
□ 조사 결과에 따르면, 기상산업 부문 총 매출액은 1조 2,911억 원으로 전년도 매출액(1조 1,364억 원)보다 1,547억 원 증가(13.6%)했다. 특히, 기상·기후 융복합서비스와 재생에너지 연계 제조업이 성장세를 주도해 산업구조가 장비 중심에서 데이터·서비스 중심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.
□ 기상산업 시장 규모가 확대되면서 기상산업 상시근로자 수도 전년 (5,884명)대비 올해 6,619명으로 약 735명(12.5%) 증가했다.
□ 황명균 기술원장은 “산업 전반에서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 중요성이 커지며 기상정보 활용이 더 확산되었다.”라며, “기술원은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산업 수요를 면밀히 분석하고, 기상산업이 기후위기 대응과 지속가능한 성장의 축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강화하겠다.”라고 말했다.
□ 기상산업 실태조사는 2015년 국가승인통계로 지정받은 국내 유일의 기상산업 분야 승인 통계이다. 기술원은 기상산업 동향분석 및 정책연구 기초자료 생산을 위해 매년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있다.
□ 이번 통계조사는 올해 6월부터 9월까지 전국 17개 시‧도 기상사업체 모집단 1,527개를 전수 조사한 결과이며, 자세한 실태조사 결과는 기술원 누리집(www.kmiti.or.kr) ‘알림·자료▶자료(연구자료/보고서)’에서 확인할 수 있다.
Prev AI 신기술 등으로 기상기후분야 선도 우수기업 발굴 및 시상
Next 게시글이 없습니다.